이현주기자
(20)한국페링제약 대표 인터뷰
26주 출산휴가 100% 유급 보장
“개인 혼자서는 해결 못해”
“저출생 문제는 개인이 혼자서 해결할 수 없습니다. 개인과 기업, 정부가 함께 유기적인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제니스 두싸스(Janise Doutsas) 한국페링제약 대표는 최근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저출생은 쉬운 해답이 없는 복잡한 문제인 만큼 해결책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에 정부 정책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제니스 두싸스 한국페링제약 대표이사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두싸스 대표는 페링제약이 아시아 국가 난임 가정이 처한 문제들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유레카 조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아시아 여성은 난임에 대한 인식이 낮아 치료 후 임신까지 7.5년이 걸린다고 전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페링그룹의 한국법인인 한국페링은 1992년 설립됐다. 다국적 제약회사 페링제약은 1950년 덴마크에서 프레데릭·에바 파울센 부부가 공동 창업했다. 임신과 출산을 돕는 치료제 등을 판매한다. 전 세계 50여개국에서 7000여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는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 두싸스 대표는 한국을 포함한 홍콩과 대만 등 동북아시아 지역을 총괄 담당하고 있다. 한국페링제약에서 근무하는 인원은 63명이다. 여성 임원 비율은 57.1%, 남성은 42.8%다.
두싸스 대표는 “회사의 사명이 ‘전 세계 사람들이 가족을 이루고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Building families&Helping people live better lives)’인데 직원도 당연히 대상에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좋은 제도를 아무리 만들어도 직원이 사용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는 일”이라며 “리더의 역할은 직원들이 가족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편한 마음으로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심리적인 지원을 받는 것까지 가능하도록 인지시키고 교육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페링제약은 직원들이 가족을 구성하는 일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위해 2022년 BFF(Building Families at Ferring) 제도를 신설했다. 1년 이상 근속한 직원의 경우 임신부터 출산, 육아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가족 구성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난임 치료와 입양을 포함하며 상담까지 포함돼 있다. 특히 남녀 구분 없이 26주간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제도가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해당 기간 월급이 전액 보장되며 내근직은 물론 영업직도 사용 가능하다. 도입 이후 남성 직원 2명이 BFF 제도를 활용하기도 했다.
제니스 두싸스 한국페링제약 대표이사는 2021년 한국법인으로 자리를 옮겼다. 두싸스 대표는 한국을 포함한 홍콩과 대만 등 동북아시아 지역을 총괄 담당하고 있다. 두싸스 대표는 지난해 여성가족부로부터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 받은 점을 자랑스러워했다.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한국페링제약은 지난해 처음으로 여성가족부 가족친화기업 인증을 받았다. 두싸스 대표는 “생식의학 분야 약품을 제공하는 회사로서, 사람들이 가족을 이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직원들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면서 “우리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 환자와 직원에게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제도를 만들어도 직원들이 사용할 수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직원들이 편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두싸스 대표는 “작은 일상적인 일들이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한다”면서 “예전에도 출산 휴가에서 복귀한 여성 직원에게 월요일이 아닌 수, 목요일에 출근을 시작하라고 권유한 적이 있다. 며칠 동안 새로운 돌봄 루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였다”고 말했다. 그는 출산 경험이 없지만 “출산한 직원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에 매우 열심히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
또 제도만으로는 저출산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봤다. 그는 “한국이 난임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이 잘 돼 있는 편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부가 아이를 가지는 것을 충분히 장려할 수 없다”면서 “아직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단순히 치료에 대한 접근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지원이 변화를 시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아이를 가지게 되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